건강한 성인 및 어르신에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예방접종 중 특히나 코로나와 비슷한 증상으로 인해 구별이 어려운 독감 (인플루엔자)의 경우 만 50세 이상의 성인은 매년 1회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어르신은 무료로 접종이 가능합니다.
☞ 독감 예방접종기관 확인 - 예방접종 도우미 (kdca.go.kr)
독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
2012년 독감(인플루엔자)의 예방은 전 연령에서 권장으로 시작하여 2018년 만 19세에서 49세까지는 위험군에 대해서는 권장으로 만 50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필수 권장으로 확대하였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무료로 접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.
독감 인플루엔자의 금기 및 주의사항
- 불활성화 백신
-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심한 과민반응을 보인 경우
- 계란에 심한 과민반응을 보인 경우 (단, 병력상 계란을 먹고 심한 과민반응이 없었다면 금기대상 아님)
- 백신 접종 후 6주 이내에 길랑-바레 증후군이나 신경 이상이 생긴 경우
- 불활성화 백신 및 약독화 생백신
-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중증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한 경우
- 백신의 성분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
- 백신 접종 후 5주 이내에 갈랭-바레 증후군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
※ 불활성화 백신은 매년 0.5mL를 1회 삼각근 부위에 근육 주사하여 독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백신입니다.
※ 갈랭-바레 증후군은 신경계통 질환으로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 (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: AIDP)라고 하여 신경에서 염증 (다발 신경염)이 발생하고 근육이 약해지며 종종 프랭크 마비로 진행되는 증상을 보입니다.
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권장 대상
만 50세 이상의 성인이면 누구나 대상이지만 그중에서도 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시 합병증의 발생위험이 높으면 특히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이러한 경향이 큰 관계로 국가 예방접종 사업 참여기관 및 보건소에서 사업기간 동안 무료로 접종하게 하고 있습니다.
- 질환별 접종 권장대상
- 만성 폐 질환자
- 만성 심장 질환자 (단순 고혈압 제외)
- 만성 간 질환자
- 만성 신 질환자
- 신경. 근육 질환자
- 혈액. 종양질환
- 당뇨병 환자
- 면역저하자 (면역억제제 복용자 등)
- 직업별 / 상황별 접종 권장 대상
- 임신부 또는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 임신 예정인 가임기 여성
-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 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, 요양, 수용 중인 사람 및 의료기관 종사자
- 만성질환자, 임신부 또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자
- 6개월 미만의 영아를 돌보는 자
- 사스. 조류인플루엔자 대응기관 종사자
- 닭. 오리. 돼지농장 및 관련 업계 종사자
2022년 독감 백신 접종일정
- 만 75세 이상 - 194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
- 2022년 10월 12일 수요일 ~ '22년 12월 31일 토요일
- 만 70세 ~ 74세 - 1948년 1월 1일 ~ 1952년 12월 31일 출생자
- 2022년 10월 17일 월요일 ~ 2022년 12월 31일 토요일
- 만 65세 ~ 69세 - 1953년 1월 1일 ~ 1957년 12월 31일 출생자
- 2022년 10월 20일 목요일 ~ 2022년 12월 31일 토요일
'22년 예방접종은 만 75세 이상의 어르신이 먼저 접종에 들어가며 이후 순차적으로 진행이 됩니다. 접종기관은 지정 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가능하며 해당 의료기관은 '예방접종 도우미'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보건소의 경우 사전에 확인 후 방문해야 합니다.
댓글